163.kr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 a1638 | 163.kr report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 a163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8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3:41

본문




Download : 20051109-.jpg







 주민등록 대체수단이 나온다면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83.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
다.

네티즌 10명 중 6명은 인터넷 사이트가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을 반드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 대체수단을 사용하겠다는 견해 은 남성(86.5%)과 30대 연령층(86.2%)에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Download : 20051109-.jpg( 63 )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e리서치]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
 주민등록 대체수단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자의 42.7%는 ‘주민등록번호 유출 위험이 적기 때문에’, 42.2%는 ‘대체수단 발급이 귀찮아서’ 등이라고 밝혔다.
레포트 > 기타

설명

 대체수단 발급 때 주민등록번호 제시에 대해서 76.0%가 ‘신용도가 있는 기관이라면 괜찮다’고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의무화해야 한다’는 견해 은 남성이 62.2%, 여성이 57.4%로 나타나 남성의 의무화 찬성률이 다소 높았다.
순서

 주민등록 대체수단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는 ‘가상주민번호’ 37.6%, ‘공인인증서’ 33.0%, ‘개인 인증키’ 27.2% 순으로 답했다. 그러나 주민등록 대체수단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자의 88.7%는 주민등록 대체수단 유료화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혀 유료화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 ‘권고에 그쳐야 한다’가 40.2%였다.
 남성과 30·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공인인증서’, 여성과 10·20·40대의 연령층은 ‘가상주민번호’를 주민등록 대체수단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응답했다.
 전자신문이 on-line 리서치 전문업체 엠브레인(대표 최인수 http://www.embrain.com)과 함께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나흘간 10대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수용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의 59.8%가 모든 인터넷 사이트가 ‘의무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전체 12,75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