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 > a1638 | 163.kr report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 > a163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8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9:44

본문




Download :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hwp




담즙 및 췌액분비의 조절, 십이지장에서 췌담관내로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형적 삼징후인 동통, 황달, 복부종괴촉지는 20%에서 나타난다. 진단은 담도산통, SGOT or alkaline phosphatase >2 normal , delayed drainage of ER…(생략(省略))
,의약보건,레포트



다. 간혹 papillary stenosis, biliary dyskinesia, postcholecystectomy syndrome 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진단은 ERCP가 가장 우수하며 전암병변으로 완전절제를 해야만 한다. SOD는 담낭절제술 후 반복되는 상복부동통을 갖는 중년 여성에서 흔하다.

2. Dysmotility of the Sphincter of Oddi
오디괄약근 기능장애는 Oddi 괄약근에서 유발하는 양성의 비담석성 폐쇄성질환으로서 pancreatobiliary-type pain, cholestasis, 췌장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Type 1; fusiform dilatation
2; true congenital diverticulum
3; dilatation of the intraduodenal portion of the common bile duct(choledochocele)
4; multiple cyst
5; single or multiple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duct(Caroli`s disease)
원인(原因)은 40%정도에서 anomalous junction of the pancreatic and common bile duct가 동반된다된다.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
순서



22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담도계질환의%20병태생리%20및%20담석형성의%20기전_hwp_01.gif 담도계질환의%20병태생리%20및%20담석형성의%20기전_hwp_02.gif 담도계질환의%20병태생리%20및%20담석형성의%20기전_hwp_03.gif 담도계질환의%20병태생리%20및%20담석형성의%20기전_hwp_04.gif 담도계질환의%20병태생리%20및%20담석형성의%20기전_hwp_05.gif 담도계질환의%20병태생리%20및%20담석형성의%20기전_hwp_06.gif

22 ,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담도계질환의 병태생리 및 담석형성의 기전.hwp( 16 )


1) 담관낭종(choledochal cyst)
담관낭종은 간외 또는 간내담도의 낭종성확장을 나타내는 선천적기형이다. Todani 분류법이 흔히 이용된다된다.
Oddi 괄약근은 총담관의 말단, 주췌관(duct of Wirsung), common channel(ampulla of Vater)을 둘러싸고 있는 평활근을 지칭한다.
전체 12,75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