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 a1637 | 163.kr report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 a163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7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22:29

본문




Download : 민법상대리권의소멸.hwp




ⅲ) 상법 제50조는 상행위의 위임에 의한 대리권은 본인이 사망하여도 소멸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한다.
② 예 외
ⅰ) 제127조는 강행규정이 아니므로 본인이 사망하더라도 대리권이 소멸하지 않는 것으로 약정하는 것은 무방하다고 한다.

3) 대리인의 금치산 또는 파산
원래 금치산자나 파산자도 대리인이 되는 데에 제한이 없다(제117조 참조). 문제는 대리인으로 선임된 후에 금치산선고 또는 파산선고를 받는 경우이다. 이 때는 대리권 발생의 기초가 되는 본인?대리인 사이의 신임관계나 대리인의 경제적 신용이 사라지기 때문에 대리권 소멸 사유가 되는 것이다. ,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법학행정레포트 , 민법상 대리권 소멸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ⅳ. 또한 소송대리권도 본인의 사망에 의하여 소멸하지 않는다(민소법 제95조).

2) 대리인의 사망
대리인이 사망한 때에, 그의 상속인을 대리인으로 하는 것이 부당함은 명백하다. ⅱ) 그리고 민법 제691조에 의하면, 위임은 당사자 일방의 사망으로 종료하게 되지만 다만 긴박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위임계약관계는 존속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수임인의 대리권도 소멸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법률관계의 종료 전에 본인이 수권행위를 철회한 경우에도 같다.

1) 原因된 법률관계의 종료
임의대리권은 그 原因된 법률관계(기초적 내부관계)의 종료에 의하여 소멸한다.

Download : 민법상대리권의소멸.hwp( 24 )











민법상대리권의소멸_hwp_01.gif 민법상대리권의소멸_hwp_02.gif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 본인의 사망
2. 대리인의 사망, 금치산 또는 파산

1) 본인의 사망
① 원 칙
본인이 사망하면 대리권은 소멸하며, 본인의 대리인이 곧 상속인의 대리인이 될 수는 없다.

2. 임의대리에 특유한 소멸原因

제128조 [임의대리의 종료] 법률행위에 의하여 수여된 대리권은 전조의 경우 외에 그 原因된 법률관계의 종료에 의하여 소멸한다. 동 규정은 임의규정이며, 본인은 原因된 법률관계가 종료한 후에도 대리권만을 그대로 존속시킬 수 있…(省略)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민법상,대리권,소멸,법학행정,레포트

다.
순서
민법상 대리권의 소멸

1. 임의대리?법정대리에 공통한 소멸原因

제127조 [대리권의 소멸사유] 대리권은 다음 각호의 사유로 소멸한다.
전체 12,35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