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와 임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1:50본문
Download : 815와 임화.hwp
Ⅰ. 서론
Ⅱ. 본론
1. 해방기 조직활동과 문단장악
2. 신전술단계
3. 해방기 임화문학의 위상
Ⅲ. 結論(결론)
10월 폭동과 2.7사건을 거치면서 여러 좌파문인들이 구금되고, 투옥되어 좌파는 그 세력이 위축되게 된다된다.
최종815와임화




Download : 815와 임화.hwp( 66 )
해방 이후 임화의 활동과 위상에 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
그렇다면 임화가 8·15 이후 남한에서 활동한 것은 …(생략(省略))
8.15와 임화
해방 이후 임화의 활동과 위상에 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최종815와임화 , 8.15와 임화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임화의 월북은 1947년 하순으로 추정되는데 그것은 박헌영이 위장조직으로 차린 제일인쇄소에서 임화를 필요로 했지만 임화에게 체포령이 내려지고, 박헌영이 임화의 입북을 명령해 입북한 것이 1947년이기 때문일것이다 또한 1947년 2월 열린 文化(culture) 옹호 남조선 文化(culture) 예술가 총궐기대회에서 주제 강연의 본론을 대독시킨 것은 임화가 1947년 초에 월북했을 가능성을 보이기도 하지만 1947년 6월 중순 남쪽의 신문에 작품을 발표한 일이 있기에 1947년 하순으로 추정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임화는 남한에 남아 잠적하면서 문학활동을 포기하는 대신 월북하여 문학활동을 계속하는 길을 선택하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