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 5현 직경(直頸)비파 > a1635 | 163.kr report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 5현 직경(直頸)비파 > a163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5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 5현 직경(直頸)비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7:03

본문




Download :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5현 직경(直頸)비파.hwp




비파형악기의기원과발달사II-5현직경비파(수원과학대학논문집제30호679-724쪽(2008년) ,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 5현 직경(直頸)비파예체능레포트 ,

Download :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5현 직경(直頸)비파.hwp( 69 )




설명
순서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 : 5현 직경(直頸)비파





비파형악기의기원과발달사II-5현직경비파(수원과학대학논문집제30호679-724쪽(2008년)


다. 다만 대부분의 악기학 연구자들이 이 악기가 인도 북부지역에서 由來했다고 하는데 반해, 다키 료이치(瀧遼一)와 같은 학자는 페르시아 지역에서 생겨났다고 주장한 바 있다아 그러나 이 형태 악기에 대한 현재까지의…(省略)
중국,한국,일본에 고대로부터 비파(琵琶)라는 명칭으로 전해오는 악기들의 역사를 연구하는, 악기학-음악화상학-음악고고학-음악박물관학의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음악학 논문의 세번째로, 5현을 지니고 줄감개를 포함한 목이 뒤로 굽지 않고 직선으로 곧게 뻗은(直頸) 형태의 비파의 기원과 발달사를 가려 뽑은 동아시아 고대 문헌과 음악고고학 유물로 추적한 논문이다. 비파(琵琶)형%20악기의%20기원과%20발달사%20II%205현%20직경(直頸)비파_hwp_01.gif 비파(琵琶)형%20악기의%20기원과%20발달사%20II%205현%20직경(直頸)비파_hwp_02.gif 비파(琵琶)형%20악기의%20기원과%20발달사%20II%205현%20직경(直頸)비파_hwp_03.gif 비파(琵琶)형%20악기의%20기원과%20발달사%20II%205현%20직경(直頸)비파_hwp_04.gif 비파(琵琶)형%20악기의%20기원과%20발달사%20II%205현%20직경(直頸)비파_hwp_05.gif 비파(琵琶)형%20악기의%20기원과%20발달사%20II%205현%20직경(直頸)비파_hwp_06.gif


중국(中國),한국,Japan에 고대로부터 비파(琵琶)라는 명칭으로 전해오는 악기들의 history(역사) 를 연구하는, 악기학-음악화상학-음악고고학-음악박물관학의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음악학 논문의 세번째로, 5현을 지니고 줄감개를 포함한 목이 뒤로 굽지 않고 직선으로 곧게 뻗은(直頸) 형태의 비파의 기원과 발달사를 가려 뽑은 동아시아 고대 문헌과 음악고고학 유물로 추적한 논문이다.
‘목이 곧은(直頸) 4-5현(絃) 탄현(彈絃)악기’의 由來와 어느 때 중국(China)으로 들어왔는가에 관련되어는 학자들 간에 큰 이견은 없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드물게 연구되고, 역싸적으로나 현재나 사용되는 지역도 그렇게 넓지 않은 이 형태의 악기의 고고화상학적 도 서기 1세기까지 거슬러 추적할 수 있으며 매우 흥미롭다.
레포트/예체능




,예체능,레포트

Abstract
들어가는 글
1. ‘목이 곧은(直頸) 5絃비파(琵琶)’의 기원
1.1. 고고화상학(考古畵像學)적
1.1.1. 중앙아시아와 중국(China)
1.1.2. 한국과 日本
1.2. 문헌학(文獻學)적
1.2.1. 중국(China)측 문헌
1.2.2. 한국측 문헌
나오는 글
bibliography


음악학(音樂學 Musicology)의 분과영역인 서양음악사나 악기학(樂器學)에서 류트(lute/영어) 또는 라우테(Laute/독어), 이슬람 음악문화권에서 ‘알 우드’(al-ūd)라는 아랍(arabia)어 명칭으로, 그리고 동아시아 음악문화권에서 - 한자어 음역(音譯)인 - ’비파(琵琶)‘로 불리는, 서양 배(梨) 모습의 울림통을 지니고 줄감개를 포함한 짧은 목이 뒤로 꺾인 탄현(彈絃)악기가 약 서기 2세기경부터 중앙아시아, 북인도, 페르시아-아라비아 문화권, 북아프리카 이슬람(무어인) 문화권, 10세기 이후 이베리아반도를 비롯한 유럽전역에서 고고화상학(考古畵像學)적으로 다량 확인이 가능한데 비해, ‘목이 곧은(直頸) 4-5絃 탄현(彈絃)악기’의 고고화상학적 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전체 12,59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