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와 정치제도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10:27
본문
Download : 민주화와 정치제도화.hwp
공직자 후보에 대한 결정뿐만 아니라 중요 사안에 대한 의사결정이 모두 비민주적이다. 중앙위원회와 중앙상무위원회와 같은 정책결정기구를 만들어 놓았지만 그 기능은 수뇌부의 의사를 뒷받침해주는 통과의례를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결과를 보면 당의 최고 지도자와 최측근에서 결정이 내려진다. 국회의원 총선이 다가오면 다소 공개적으로 공천을 한다고 여야할 것없이 신청을 받고 당의 고위간부들로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며 도덕성이니 당선가능성이니 하면서 공천기준도 제시한다. 정당의 주요 의사결정은 최고 지도자와 그의 측근에 의하여 밀실에서 행해진다. 공직 후보자 추천의 예를 들면 정당법은 당의 대의기관의 의사를 반영... , 민주화와 정치제도화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헌법이나 정당법에는 물론 정당이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아 공직 후보자 추천의 예를 들면 정당법은 당의 대의기관의 의사를 반영...
다. 수뇌부가 뜻을 두고 영입한다는 외부인사도 상당수 공천되기 마련인데 실제 공천 기준은 수뇌부와의 친소관계, 연고관계, 아니면 심지어 금품거래 등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1994년에 여당인 민자당의 경우에 2천 4억원에 이르는 총수입중 당비는 88억 1…(省略)
헌법이나 정당법에는 물론 정당이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중앙당 말고 시·도지부와 지구당을 어지럽게 구성해 놓고는 이들은 평상시에 해당 지역의 관혼상제 연락업무나 하도록 하고 선거 때는 이미 정해진 후보의 당선을 위해서 가동된다 당의 정책을 수립하고 선거전략(戰略) 을 세우고 재정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일반당원들의 책임과 역할이란 전무하다.
민주화와 정치제도화
Download : 민주화와 정치제도화.hwp( 20 )






헌법이나 정당법에는 물론 정당이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따 공직 후보자 추천의 예를 들면 정당법은 당의 대의기관의 의사를 반영하여 민주적으로 하여야 하고 구체적 절차는 당헌으로 정한다고 하고 있따 그렇다면 여기서 정해진 대원칙대로 공직 후보자 추천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은 망설일 것없이 부정적이다. 1995년 地方選擧(지방선거) 시에 몇몇 도지사 선거에서 대의원 대회를 통한 경선을 벌인 것을 제외하면 형식적으로나마 민주적 절차로써 공천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각 정당이 매년 중앙선관위에 보고하는 당재정수지의 수입항목에는 당비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일반당원이 아니라 당소속 공직자나 당의 요직자 등 간부가 직위에 따라 할당된 일정액을 매월 내어 거둔 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