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사회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20:06
본문
Download : 고대 사회의 발전.hwp
고구려
(1) 중앙정치
① 왕족 : 계루부 - 고씨, 왕비족 : 절노부 - 명임씨
② 관등 : 대대로 이하 10여 관등
㉠ 고구려는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정비된 관등조직을 성립
㉡ 초기국가 때 상가 등 10여 개의 관등이 마련
㉢ 고구려의 관등조직에는《형》과《사자》의 명칭을 중심으로 관등이 분화
㉣《형》은 연장자 내지는 가부장적 족장을 의미
㉤《사자》는 조부를 거두어들이는 사람이란 뜻의 행정적 관리 출신을 의미
③ 수상 : 임기 3년의 대대로를 선출하여 국사를 총괄하게 하고, 비상시는 대 막리지가 대권을 장악.
☞ 최초의 막리지는 연개소문이고 최후의 막리지는 남산
④ 최고회의 : 제가회의 합좌제도가 존재
(2) 지방행정조직
① 수도 : 5부 - 부족적 성격의 5부가 고국천왕 때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
② 지방 : 5부 - 장관 욕살이 대성에 머물면…(생략(省略))
설명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고대 사회의 발전
,법학행정,레포트
4고대사회의발전
고대 사회의 발전4고대사회의발전 , 고대 사회의 발전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고대 사회의 발전.hwp( 35 )
고대 사회의 발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