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업법-법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04:37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사업법-법인.pptx
社會福祉士업법은 헌법 제34조에 규정된 생존권을 구체화한 법률이며, 각종 社會福祉士업 분야에 관한 법률의 기본적 사항을 총괄적으로 규정한 일반법으로서 의의가 있따
_SLIDE_5_
연혁
1969년 7월 社會福祉士업법 국회 통과
1970년 1월 社會福祉士업법 제정, 4월 시행
1983년 일부 개정 : 社會福祉士 자격조항의 신설, 사회복지협회의 법정단체화 조항 신설
1997년 전면 개정 :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변경, 社會福祉士 자격을 1,2,3급으로 법제화하고 1급은 시험에 합격한 자로 함. 이사와 감사의 겸직금지조항 신설
2003년 7월 전면 개정 : 시군구에 지역사(歷史)회복지협의체 설치, 지역사(歷史)회복지계획 수립시행, 사회복지서비스와 재가복지서비스 실시에 관한 규정 신설
_SLIDE_6_
연혁
2005년 7월 일부 개정 : 社會福祉士 결격사유를 법률에 직접 규정
2007년 12월 일부 개정 : 사회복지업무의 전자적 업무처리에 대한 근거규정 마련, 社會福祉士 보수교육 규정 신설
2009년 6월 일부 개정 : 사회복지통합전산망 도입에 따른 제반규정 마련
2xxx년 8월 일부 개정 : 출소자의 갱생보호사업을 社會福祉士업에 포함, 사회복지법인의 설치운영 등에 관한 사무를 보건복지부 장관에서 시도지사로 이양
2012년 1월 일부 개정(일명 ‘도가니법’) : 社會福祉士업에 있어 인권보호 강화, 사회복지법인 임원의 자격 요건 강화, 사회복지법인시설 임직원 결격사유 확대 및 직무집행 정지사유 신설,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 관리감독 강화, 사회복지시설 서비스 품질 향상 …(투비컨티뉴드 )
사회복지사업법-법인 , 사회복지사업법-법인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사업법 법인
사회복지사업법,법인,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사회복지사업법-법인
설명
사회복지사업법-법인






Download : 사회복지사업법-법인.pptx( 46 )
다.레포트/인문사회
_SLIDE_1_
社會福祉士업법
-법인
_SLIDE_2_
목적
법 introduce
결점
개정안
연혁
입법배경
결점
대책
_SLIDE_3_
입법배경
_SLIDE_4_
의의 및 특징
社會福祉士업의 내용, 절차 등에 관하여 이 법이 정한 25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社會福祉士업법의 규정에 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