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 대하여 > a1633 | 163.kr report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 대하여 > a163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3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2:35

본문




Download :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hwp




고층 건축물이 최초로 나타나게 된 시기와 장소에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지만, 근대적 산업기반으로 경제적 활성화를 꾀하던 미국의 도시들이 중심이 되었다.


1) Central Plaza in Hongkong



Ⅳ. 초고층 구조의 국내 시공事例
이와 더불어 고층건축물은 건축디자인, 기술Engineering, 도시계획, 경제적 요소, 사회 심리적인 요소 및 여러 연관된 전문분야 등을 고려하여 총괄적으로 계획 및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있따
현대적 고층 건축물이 생겨나게 된 배경은 시멘트, 유리, 철 등의 새로운 구조재료의 보급과 엘리베이터의 발명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3) Jin Mao Tower in China
5) 튜브 시스템
1) 여의도 63빌딩
설명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4) 코어 및 outrigger 구조 시스템


2) Sears Tower in Chicago
초고층 위원회(CTBUH, Council on Tall Building and Urban Habitat)에 따르면 고층 건축물은 건축물의 높이 혹은 층수에 의하여 정의(定義)되지 않으며, 오히려 고층 건축물이란 건축계획 즉 디자인 그리고 용도상에 직접적으로 影響을 주는 고층성을 가진 건축물이며, 그 고층성으로 인하여 어떠한 지역이나 시대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디자인 및 시공 그리고 사용 및 유지관리측면에서의 보편적인 조건과는 다른 특별한 조건을 유발하는 건축물로서 정의(定義)되고 있따 이것은 일반적인 층수 혹은 높이의 槪念으로서 다루는 외형적인 의미보다는 고층건물이 내재하고 있는 사회, 文化(문화)적인 건축적 복합성을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Ⅴ. 초고층 구조의 국외 시공事例

Ⅰ. 초고층 구조의 정의 Ⅱ. 초고층 구조의 탄생배경 Ⅲ. 초고층 구조의 원리 및 구조 시스템 1) 강성골조 시스템 (리지드 프레임, 라멘) 2) 전단벽 구조시스템 3) 가새 골조 시스템 4) 코어 및 outrigger 구조 시스템 5) 튜브 시스템 6) 골조-전단 구조시스템 Ⅳ. 초고층 구조의 국내 시공사례 1) 여의도 63빌딩 2) 역삼동 스타타워 3) 삼성동 무역센터 Ⅴ. 초고층 구조의 국외 시공사례 1) Central Plaza in Hongkong 2) Sears Tower in Chicago 3) Jin Mao Tower in China

3) 가새 골조 시스템
Ⅰ. 초고층 구조의 定義(정의)



Ⅱ. 초고층 구조의 탄생배경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3663_01.jpg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3663_02_.jpg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3663_03_.jpg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3663_04_.jpg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3663_05_.jpg

순서
2) 역삼동 스타타워


3) 삼성동 무역센터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 대하여
Ⅱ. 초고층 구조의 탄생배경
그리고 구조 Engineering적인 관점에서는 바람, 지진 등 횡하중이 구조계획에 주된 影響을 끼치는 건축물 또는 세장비가 최고 5:1이상인 건축물을 초고층 건축물이라고 정의(定義)하고 있따 그러므로 초고층의 기준은 건축적 의미에 있어서 단순히 수치적으로 정의(定義)되기 보다는 어떠한 시기에 있어서 비교 판단될수가 있는 기준이 중요한 요소이며, 여기에는 어떠한 지역, 사회 그리고 文化(문화)적인 기준이 상호 연관되어 작용됨을 알 수가 있따

Download : 건축 구조 시스템 - 초고층 구조에.hwp( 54 )




건축 구조 시스템,초고층 구조
Ⅲ. 초고층 구조의 원리 및 구조 시스템
2) 전단벽 구조시스템
6) 골조-전단 구조시스템


1) 강성골조 시스템 (리지드 프레임, 라멘)

다. 특히 시카고는 1871년 대 화재 이후 근대의 고충 건축물의 모태로서 나타나게 되는데 고층건축물의 출현은 근대도시의 밀집성과 경제적 特性 뿐 만 아니라, 도시의 하부구조를 개방된 네트워크(Network) 혹은 그리드(Grid)로 인식하고 이와 더불어 수직적 규모에 있어서는 높이가 무제한이라는 개방감에 대한 사회, 文化(문화)적 인식도 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전체 12,57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