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 a1632 | 163.kr report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 a163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2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7 03:13

본문




Download :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hwp




또한 풍물굿을 열고자 하는 사람이 상쇠에게 굿의 성격과 내용을 이야기하고, 이에 따르는 제반 문제를 상의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때로는 상쇠가 굿판을 구상하여 결정한 다음 이를 치배들에게 알려 굿을 벌릴 때도 있다
둘째, 지휘자로서의 기능이다. 즉 상쇠를 부를 때 나이의 고하를 막론하고 “상쇠영감”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상쇠의 역할은 그 호칭에서도 잘 부각된다된다. [사범교육]%20치배의%20구성과%20역할_hwp_01.gif [사범교육]%20치배의%20구성과%20역할_hwp_02.gif [사범교육]%20치배의%20구성과%20역할_hwp_03.gif [사범교육]%20치배의%20구성과%20역할_hwp_04.gif [사범교육]%20치배의%20구성과%20역할_hwp_05.gif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
[사범교육],치배의,구성과,역할,사범교육,레포트





치배의 구성과 역할

1) 상쇠의 역할
풍물굿에서 상쇠가 누구냐에 따라 큰굿이 되기도 하고 작은 굿이 되기도 한다. 물론 똑같은 풍물굿이라도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른 굿을 열게 되는데, 상황 變化(변화)에 맞는 굿판을 구상하여 모든 치배들에게 알려 준다. 상쇠는 굿판의 성격과 시기, 상황에 따라 전체 판의 흐름을 잡아가며 인원 통제와 구성에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치배를 구성함에 있어 상쇠는 모든 치배들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판의 흐름에 맞게 인력을 배치한다. 마을에 큰 굿을 벌이려 하는데 뛰어난 상쇠가 없을 경우, 다른 마을에서 연행 능력이 뛰어나고 굿머리를 잘 알고 있는 상쇠를 품삯을 주고 사오는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상쇠는 기능은 물론 지략과 덕망을 함께 갖추어야만 모든 치배들이 그의 통솔에 따르게 된다된다. 이렇듯 상쇠는 극진한 대접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쇠의 능력이 곧 굿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1) 이러한 요인은 순전히 상쇠의 역량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된다. 상쇠는 처음 어디에서 어떠한 굿을 열 것인가를 구상한다. 그러다보니 연행 능력이 뛰어난 상쇠는 이 마을 저 마을로 불려 다니며 풍물굿을 치러 다니기 때문에 인근 마을에 소문이 나게 되는 것이다.
상쇠는 굿판의 지휘자, 연출자, 기획자이며, 동시에 연행자까지를 겸하는 중심인물인 것이다. 그리고 굿판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치배가 있으면 일정 부분 숙지시키는 작업 또한 상쇠의 역할 …(투비컨티뉴드 )


설명

Download : [사범교육] 치배의 구성과 역할.hwp( 31 )




다. 그러면 상쇠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자.
첫째, 기획자로서의 기능이다. 여기에서 상쇠의 견해 이 가장 두드러지게 반영되는 것은 물론이다.
전체 12,50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