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퇴적물(marine sediments)의 기원 및 분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20:33
본문
Download : 해양퇴적물(marine sediments)의 기원 및 분포.hwp
%EC%9D%98%20%EA%B8%B0%EC%9B%90%20%EB%B0%8F%20%EB%B6%84%ED%8F%AC_hwp_01.gif)
%EC%9D%98%20%EA%B8%B0%EC%9B%90%20%EB%B0%8F%20%EB%B6%84%ED%8F%AC_hwp_02.gif)
%EC%9D%98%20%EA%B8%B0%EC%9B%90%20%EB%B0%8F%20%EB%B6%84%ED%8F%AC_hwp_03.gif)
Download : 해양퇴적물(marine sediments)의 기원 및 분포.hwp( 69 )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le3333
순서
le3333 , 해양퇴적물(marine sediments)의 기원 및 분포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레포트
해양퇴적물(marine sediments)의 기원 및 분포
1. 강에 의한 유입(river input)
-입자(particulate) 및 용해(dissolved)상으로 유입
-퇴적물 형성은 육지의 풍화, 침식작용 정도에 좌우됨
-고위도 지방: 물리적 풍화작용 우세, 저위도 지방: 화학적 풍화작용 우세
-강에 의한 퇴적물 유입량: 12 km3, 해양의 면적: 362 million km2으로 추정할 경우 해양에서의 평균(average) 퇴적률: 30 mm/1000 yrs
2. 빙하에 의한 유입(glacier input)
-주로 고위도 지방(빙하의 influence을 받는)에 influence
-빙하는 자갈에서부터 실트, 점토까지 모든 크기의 퇴적물을 운반시킴
-해양의 약 20%가 빙하 및 빙산에 의해 운반된 빙하기원 퇴적물의 influence을 받음
-IRD (ice rafted detritus)는 빙산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로서, 나타나는 위도는 40o 정도이나 빙하기 동안에는 양이 증가하며, 분포범위는 더욱 저위도 지방으로 이동
3. 바람에 의한 유입(input from wind)
-주로 세립퇴적물(sillt나 clay)로 구성
-연간 퇴적률(influence을 받는 지역): 북태평양; 1 mm/1000 yr, 대서양 2.5 mm/1000 yr
-빙하기 시대에는 유입량 증가?
4. 화산활동에 의한 유입(volcanic input)
-화산활동에 의한 화산재(volcanic ash)의 유입
-주로 화산활동이 활발한 태평양형 대륙주변부에 influence이 큼
-화산재는 비교적 넓은 지역에 운반되므로 서로간의 퇴적층을 대비하고 연대를 알 수 있는 key bed의 역할을 함(tephrachronology; 테프라 층서)
(3) 육성기원 퇴적물의 입도 및 광물ingredient
1. 입자의 크기(입도; grain size)
-입도의 통계처리 및 표시를 위해 단위를 사용: mm로 표시된 입자의 크기를 단위로 표시
= -log2D/1 mm (D= mm 단위의 입자의 직경)
-퇴적물은 입도에 따라 자갈(gravel), 모래(sand), 실…(투비컨티뉴드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