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공익사업과 중재 - 필수공익사업과 중재제도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4:22본문
Download : 필수공익사업과중재.hwp
2) 필수공익사업과 관련된 논의쟁점
① 직권중재제도의 위헌성 : 공익사업체 근로자의 쟁의행위권을 사실상 부인하는 노조법상의 직권중재조항에 대하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다소 다른 입장을 보여왔다. 대법원은 일관되게 직권중재에 대한 합헌성을 인정해온 반면, 헌법재판소는 비록 총9명의 재판관 중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위헌결정으로 인정되지만 과거4명이 합헌, 5명이 위헌에 찬성한 사례(instance)가 있어 계속해서 논란거리가 되고 있따
② 필수공익사업의 범위조정문제 : 공익사업에 대한 직권중재제도는 1953년에 제정된 노동쟁의조정법(現‘노조법’)에서부터 존재하였는데, 이후 몇次例(차례)의 개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그 범위가 다소 축소되고 있다는 게 대부분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한편, 이 법에서‘필수공익사업’이라 함은 앞서 언급한 공익사업으로서 그 업무의 정지 또는 폐지가 공중의 일상생활을 현저히 위태롭게 하거나 국민경제를 현저히 저해하고 그 업무의 대체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으로서 ▲철도(도시철도 포함) 및 시내버스(특별시ㆍ광역시에 한함), ▲수도ㆍ전기ㆍ가스ㆍ석유정제 및 석유공급사업, ▲병원사업, ▲은행사업, ▲통신사업 등이 해당된다
다만, 시내버스 운송사업 및 은행사업(한국은행 제외)은 노조법 부칙 제2조에 의하여 2001년 1월 1일부터 필수공익사업에서 제외되었다.
다.
필수공익사업과 중재 - 필수공익사업과 중재제도에 대한 연구
필수공익사업과 중재제도에 대한 연구
1. 필수공익사업
1) 필수공익사업의 법적 정의(定義)
노조법 제71조에서는‘공익사업’을 공중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국민경제에 미치는 影響이 큰 사업으로 정의(定義)하고 있따 공익사업에 해당하는 사업으로는 ▲정기노선 여객운수사업, ▲수도ㆍ전기ㆍ가스ㆍ석유정제 및 석유공급사업, ▲공중위생 및 의료사업, ▲은행 및 조폐사업, ▲방송 및 통신사업 등이다.
③ 파업기간 중 대체근로 허용 여부 : 노동조합이 파업을 처음 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업을 정지해야만 하는가의 문제가 있따 쟁의행위에 가담한 노동조합의 조합원 혹은 비조합원 이외의 이미 근…(투비컨티뉴드 )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필수공익사업과 중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필수공익사업과 중재 - 필수공익사업과 중재제도에 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필수공익사업과 중재
필수공익사업과,중재,경영경제,레포트
설명
필수공익사업과 중재
Download : 필수공익사업과중재.hwp( 49 )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