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어중문] 고체시와 근체시 형식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6:38본문
Download : 고체시와근체시비교.hwp
4언(四言), 5언(五言), 6언(六言), 7언(七言) 등의 형식이 있으며, 오언과 칠언을 섞은 잡언(雜言)도 있다
[중어중문] 고체시와 근체시 형식비교
시 형식 비교
고체시는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현언시, 유선시, 산수시, 전원시, 궁체시 등 다양한 틀을 갖추게 되었으며 조식, 도연명, 사령운, 포조 등 수많은 문인들의 노력에 의해 표현역량이 극대화되었고, 압운과 평측, 대구와 구성 등 각 방면에서 고도로 세련된 형태를 갖추어 나갔다. 시의 길이와 압운이 자유롭고, 각 장의 구수도 일정하지 않으며 구성상의 규칙도 없다.
두보의 망악 과 절구 각각 고체시, 근체시의 시 형식 비교
설명
두보 망악 고체시 근체시 형식비교 절구
그러나 근체시 성립 이전의 시라 하더라도 악부체 시는 고시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근체시가 나타난 당대 이후에도 이백, 두보, 소식, 황정견 등의 문호들에 의해 계속 창작되었으며, 청말에 이르
다.
두보의 망악 과 절구 각각 고체시, 근체시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시의 종류에는 당대이전의 자유로운 형식으로 쓰여진 고체시와 당나라때 발생한 작품상의 규칙이 엄격한 시인 근체시가 있다
Download : 고체시와근체시비교.hwp( 99 )





순서
고체시의 시율은 근체시에 비해 매우 자유롭다. 또 근체시 성립 이후의 것이라도 근체시의 형식에 따르지 않고 그 이전 시의 형식을 따라서 지은 것은 고체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