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 > a1631 | 163.kr report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 > a163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1631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5:43

본문




Download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hwp




,기타,레포트

Download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hwp( 20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



설명








천마총과%20신라%20고분의%20변천_hwp_01.gif 천마총과%20신라%20고분의%20변천_hwp_02.gif 천마총과%20신라%20고분의%20변천_hwp_03.gif 천마총과%20신라%20고분의%20변천_hwp_04.gif
이 고분은 1934년에 발굴된 것으로 봉토가 높이 1.8m, 지름 10.4(동서)×13m(남북)의 작은...
황남동 109호분
레포트/기타

<전기>



<전기>

황남동 109호분

이 고분은 1934년에 발굴된 것으로 봉토가 높이 1.8m, 지름 10.4(동서)×13m(남북)의 작은 것이지만 묘곽의 배치와 일부 남은 호석의 상태로 보아 원래 지름은 그 두배 정도는 되었다고 생각도니다.

천마총 발굴보고서에 의하면 이 고분의 봉토 흙 용적은 7,464㎡ 적석은 1,402㎡로서 그 축성에는 총인력 8,900명이 동원되었다고 추산된다 즉 봉토를 쌓기 위해 하루 50명의 동원이 되었어도…(투비컨티뉴드 )
순서



<전기> 황남동 109호분 이 고분은 1934년에 발굴된 것으로 봉토가 높이 1.8m, 지름 10.4(동서)×13m(남북)의 작은... , 천마총과 신라 고분의 변천기타레포트 ,


다. 이 고분은 봉토 높이 12.7m 지름 23.6m 이고 묘곽은 동서 방향의 단곽으로 크기 6.6(동서)×4.2(남북)×2m(길이)이며 그 바닥은 109호분과 달리 지상에 있다아 목곽의 내부에 동서 방향으로 놓인 목관은 길이 2.15m, 너비 1m였고 머리쪽에는 복원크기 1.8×1×0.6(높이)의 부장품패가 있었다. 목관의 내면에는 단칠하고 금박으로 문양을 배치하였다.

한편 목관 내에는 피장자가 착장한 금관을 비롯한 각종 장신구 외에 환두대도 1점이 있었고 주부장품은 목관 동편의 부장품 수장패 안에 있었으며 목관 주위의 상부에서도 다수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붕분 정상부에는 봉토 표면을 덮은 점토층이 약간 남아있었는데 이 점토층 속에서 마구류를 위주로 한 일괄유물이 발견되었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109호분은 4개의 목곽으로 구성된 다곽묘인데 구조상 3,4곽이 먼저 축조된 뒤 1,2곽이 봉토를 파낵 그 위에 축조된 것임을 알수 있다아 이 경우 묘곽 안의 유물로 보아 제 1곽은 남성의 남자, 제 2곽은 1곽의 배장격인 사람의 묘, 제 3곽은 동침의 남자묘, 4곽은 3곽의 유물 부곽으로 판단된다 이 3,4곽은 거기서 나온 토기, 철등자(발걸이)등을 기중으로 현재로서는 경주 시내 적석목곽분 중 가장 오랜 4세기 전반경으로 편년되는 것이고 1,2곽은 그 보다 훨씬 뒤인 것으로 중기로 간주되고 있다아



중기

천마총(황남동 155호분

전술했다시피 천마총은 해방 전에 매겨진 마지막 고분번호이다.
전체 12,61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