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조선후기조선인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 조선후기 文化(culture) 개방과 조선인의 세계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02:32
본문
Download : 조선후기조선인의세계인식에대하여.hwp
당시 북경에서 들여온 서책들은 겉으로는 전통적인 성리학 서적이 많았지만, 실제로는 패관소품문과 백과전서적 총서류 들이 더 많이 쏟아져 들어왔다. 이전까지 사물은 마음공부와 이치 탐구의 수단에 불과했다.
방대한 총서들이 들어오면서 예전에는 완물상지(玩物喪志)라 하여 금기시되었던 사물에 대한 관심은 어느새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위치로 격상되었다. 하지만 무턱대고 모은 것이 아니라 목차와 범례를 세워놓고 단계를 밟아 작업을 진행했다. china의 각종 서적과 사치성 소비재들이 서울로 흘러 들어오면서 외국 문물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우리 것에 대한 자기혐오가 동시에 일어났다. 사방으로 죽죽 뻗은 도로에 넘쳐나는 재화, 거리를 가득 메운 서점과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할 정도로 쌓여 있는 서책들, 고딕식 서양 성당과 서구 과학기술 정보들까지, 그들이 직접 목격한 청나라는 애초에 조선이 무찌를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20년 귀양살이 동안 제자들과 함께 500권에 이르는 각종 저작을 펴낸 정약용의 작업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다산의 현손인 정규영(丁奎英)이 1921년에 정리(arrangement)한 〈사암선생연보〉에 의하면 다산의 제자들은 역량에 따라 카드 작업하는 사람, 베껴 쓰는 사람, 교정보는 사람, 제본하는 사람 등으로 역할을 나누어 일사불란하게 작업을 진행했음을 알 수 있따 다산초당에서는 작업 目標(목표)가 정해지면 가장 먼저 관련 정보를 수집했고, 정보가 모이면 각각의 정보를 하나하나 교차 대조했다.
조선후기 文化 개방과 조선인의 세계 인식
1. 조선 후기 文化 개방과 조선 지식인의 세계화 대응
‘무찌르자 오랑캐’의 북벌을 국시로 하던 세상의 젊은이들이 처음 북경에 도착했을 때 받은 文化적 충격은 실로 엄청났다. 집체 작업에 의한 편집서들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이 시기 지식시장의 성격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제는 그 자체가 탐구의 대상으로 승격되었다. 18세기 지식인들은 무엇이건 관심이 생기면 모으고 정리(arrangement)했다. 이렇게 정보의 우열과 정오(正誤)를 판단하고…(省略)
조선후기조선인의,세계인식에,대하여,-,조선후기,문화,개방과,조선인의,세계,인식,법학행정,레포트
조선후기조선인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Download : 조선후기조선인의세계인식에대하여.hwp( 52 )
순서
조선후기조선인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 조선후기 文化(culture) 개방과 조선인의 세계 인식
조선후기조선인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 조선후기조선인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 조선후기 문화 개방과 조선인의 세계 인식법학행정레포트 , 조선후기조선인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 조선후기 문화 개방과 조선인의 세계 인식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