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청일전쟁 전후 日本(일본) 지식인의 대외인식론 / - 189 -東洋學 第31輯(200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1:29
본문
Download : 청일전쟁 전후 일본 지식인의 대외인식론.hwp
민우사(民友社, 1887년)와 정교사(政敎社, 1888년)가 그것이다. 전자는 장래의 일본 (1886)이란 베스트셀러로 일약 세인의 주목을 받게 된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가 조직한 것으로 잡지 國民之友 와 國民新聞 (1890년 창간)을 발간하게 된다 후자는 미야케 세츠레이(三宅雪嶺), 시가 쥬코(志賀重昻)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것으로 잡지 日本人 을 발간하였으며, 이 그룹과 同心異體로 불리우는 구가 카츠난(陸 南)의 신문 日本 (1889년 창간)을 지원하게 된다 이 두 그룹은 일반적으로 전자가 평민적 歐化主義 , 후자가 國粹主義 로서 특징지워지고 있다 2) 이러한 양자의 상반된 입장은 본래 government 의 조약개정 방향에 대한 태도에서 비롯되고 있으나, 동시에 보다 근본적으로는 메이지유신 단행이래 government 가 추진해온 근대화 정책에 대한 분기된 평가를 의미하기도 하였다.3) 도쿠토미는 스스로 양 그룹을 대변하는 國民新聞 과 日本 은 주의주장, 취미, 기호에서 물과 기름처럼 서로 반대 였다고 술회하고 있다 4) 이렇듯 주의를 달리하는 두 그룹은 1890년대를 통해서 여전히 양극적인 ...
Download : 청일전쟁 전후 일본 지식인의 대외인식론.hwp( 64 )
- 189 -東洋學 第31輯(2001年 6月)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청...
[인문사회] 청일전쟁 전후 日本(일본) 지식인의 대외인식론 / - 189 -東洋學 第31輯(200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 189 -東洋學 第31輯(2001年 6月)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청...
인문사회 청일전쟁 전후 일본 지식인의 대외인식론 / - 189 -東洋學 第31輯200
다. 즉, 전자가 근대화( 歐化 )가 세계의 대세 라는 관점에서 적극 지지하는 입장이라면, 그 정도가 지나치다며 일본이라는 나라의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상실하지 않으면서 근대화를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후자의 국수주의 인 것이다.





설명
- 189 -東洋學 第31輯(2001年 6月)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청일전후 일본 지식인의 대외인식론 - 陸 南과 德富蘇峰을 중심으로 - 1) 朴 羊 信 Ⅰ. 머리말 Ⅱ. 청일전쟁의 의의와 전쟁 처리 Ⅲ. 전후경영 및 열강의 China 분할을 둘러싸고Ⅳ. 의화단사건과 만주문제 Ⅴ. 맺음말 Ⅰ. 머 리 말 1880년대 후반, 종전의 자유민권운동이 한풀 꺾이고 체제의 제도화가 진전되는 가운데 그 다음 시대의 사조를 이끌고 갈 두 동인 결사가 탄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