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1:15
본문
Download :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hwp
사실 우리 학계에는 여러 학문간의 대화가 매우 드문 편이거든요. 더구나 Engineering자와 사회과학자가 공동으로 강의를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지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작업장의 사회定義(정의) 문제에 대한 `하나의 모범답안`이 있었습니다. 다소 무리가 있지만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기술발전이 사회주의제도와 결합될 때라야 진정한 노동해방이 달성되리라는 답이지요. 반면 자본주의제도와 결합된 기술발전은 궁극적으로 노동소외만을 강화시킬 뿐이라는 것입니다. 작업장이란 우리가 흔히 산업현장이라고 부르는 곳이지요. 작업장에서는 끊임없이 기술혁신이 일어납니다. 학생 여러분은 이 과목을 어떻게 평가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저에게는 참으로 획기적이고 참신한 시도로 보입니다. 즉 자본주의제도,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생산수단의 사적소유를 유지하면서 신기술을 도입하였을 때 이것이 작업방식에 미칠 효율가 문제시됩니다.
강의는 먼저 약 20분 동안의 도요타 자동차 생산라인에 관한 비디오감상, 작업장의 사회定義(정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고전적 논의에 대한 intro , 도요타 생산방식과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에 관한 간략한 사회학적 analysis, 그리고 結論(결론)을 내리는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과연 신기술에 토대를 둔 생산방식이 작업장에서의 사회定義(정의) 문제를 어떤 방향으로 change(변화)시키게 될까요?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
1.작업장에서의 사회定義(정의)에 관한 마르크스의 사상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
제가 주로 관심을 갖는 연구 주제는 정보기술의 확산이 갖는 사회적 effect(영향) , 그리고 정보기술의 개발과 확산에 effect(영향) 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입니다.
설명
순서
Download :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hwp( 96 )
다. 최근에는 이러한 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극소전자혁명, 과학기술혁명 등과 같은 표현을 만들어냈습니다. 제가 말씀 드릴 부분은 신기술에 기초를 둔 새로운 생산 방식의 사회학적인 함의입니다.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445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2%BD%EC%A0%9C%ED%95%99%5D%20%EC%83%88%EB%A1%9C%EC%9A%B4%20%EC%83%9D%EC%82%B0%EB%B0%A9%EC%8B%9D%EC%9D%98%20%EC%82%AC%ED%9A%8C%EC%A0%81%20%ED%95%A9%EC%9D%98-4450_01.gif)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445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2%BD%EC%A0%9C%ED%95%99%5D%20%EC%83%88%EB%A1%9C%EC%9A%B4%20%EC%83%9D%EC%82%B0%EB%B0%A9%EC%8B%9D%EC%9D%98%20%EC%82%AC%ED%9A%8C%EC%A0%81%20%ED%95%A9%EC%9D%98-4450_02_.gif)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445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2%BD%EC%A0%9C%ED%95%99%5D%20%EC%83%88%EB%A1%9C%EC%9A%B4%20%EC%83%9D%EC%82%B0%EB%B0%A9%EC%8B%9D%EC%9D%98%20%EC%82%AC%ED%9A%8C%EC%A0%81%20%ED%95%A9%EC%9D%98-4450_03_.gif)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445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2%BD%EC%A0%9C%ED%95%99%5D%20%EC%83%88%EB%A1%9C%EC%9A%B4%20%EC%83%9D%EC%82%B0%EB%B0%A9%EC%8B%9D%EC%9D%98%20%EC%82%AC%ED%9A%8C%EC%A0%81%20%ED%95%A9%EC%9D%98-4450_04_.gif)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4450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2%BD%EC%A0%9C%ED%95%99%5D%20%EC%83%88%EB%A1%9C%EC%9A%B4%20%EC%83%9D%EC%82%B0%EB%B0%A9%EC%8B%9D%EC%9D%98%20%EC%82%AC%ED%9A%8C%EC%A0%81%20%ED%95%A9%EC%9D%98-4450_05_.gif)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
[경제학] 새로운 생산방식의 사회적 합의
오늘 저는 작업장(workplace)에서의 사회 定義(정의)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우선 기존의 논의에서 큰 effect(영향) 력을 행사했던 마르크스의 입장을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program에 강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서 큰 영광입니다. 여러분들도 잘 알고 계시다시피 마르크스는 작업장에서의 사회定義(정의)문제에 관해 가장 체계적이고 치밀한 논의를 전개했던 인물입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이러한 해답이 얼마나 큰 설득력을 지니고 있을까요? 이 질문은 곧 신기술이 작업방식을 얼마만큼이나 change(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질문으로 연결됩니다. 특히 작업장에서의 사회定義(정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