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E 이론(理論)과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0:49
본문
Download : RME 이론과 실제.hwp
1. 상황모델(model - of)에서 추론모델(model - for)로의 전이에서 나타나는 네가지 활동 수준
RME理論(이론)과 관련된 이전의 연구들(Gravemijer & Doorman, 1997; Gravemeijer et. al., in press; Stephan, 1998; Underwood & Yakel, 1997)에서 상황모델과 추론모델의 전이는 학생들의 활동을 네 가지 활동 수준 즉, 상황적, 참조적, 일반적, 형식적 수준으로 나눔으로써 뚜렷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왔다.






Ⅰ. 서론
Ⅱ. RME의 기본원리
Ⅲ. 개발연구를 통한 RME 교수설계
Ⅳ. RME 理論(이론)에 따르는 미분방정식 교수설계의 예시
Ⅴ. 結論(결론)
Ⅳ. RME 理論(이론)에 따르는 미분방정식 교수설계의 예시
이 장에서는 전통적인 미분방정식 수업과 개혁미분방정식 수업이 지닌 문제점(問題點)을 해결하기 위해 RME 접근을 따르는 미분방정식 교수설계의 한 예시를 제시하고 이를 발생모델의 설계발견술(design heuristic)에 따라 說明(설명) 한다:
유목민의 인구change(변화)는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아 dN/dt의 그래프가 아래와 같을 때 다음의 초기 조건에 따른 future 의 인구수를 예측하고 그 과정을 說明(설명) 하여라.
① N(0)=2, ② N(0)=3. ③ N(0)=4, ④ N(0)=7
[그림 1] dN/dt 그래프
위의 예시는 안정성과 해의 장기적 움직임 사이의 연결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문항이다. 이러한 네 수준은 엄밀한 체계를 의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발달적인 진행과정을 묘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추론과정을 說明(설명) 하기 위해 고려된다된다.
1) 상황적 수준
어떤 상황에서 행동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여 해를 이해하는 수준으로, change(변화)율을 경험적으로 실제적인 맥락으로 해석하여 change(변화)율 방정식을 사용하는 방식을 이해한다…(drop)
수학교육에있어서의RME이론과실제 , RME 이론과 실제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RME 이론과 실제.hwp( 16 )
RME 이론(理論)과 실제
수학교육에있어서의RME이론(理論)과실제
다. 이 예시를 통해 1절에서는 발생모델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추론과정을 Ⅱ장에서 제시한 네 가지 활동 수준으로 구분하여 說明(설명) 하고, 2절에서는 교사에 의해 안내된 재발명 하에 발생모델의 발달과 함께 나타나는 기호화 단계를 도식화하고 說明(설명)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