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행동의 논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7:06
본문
Download : 집단행동의 논리.hwp
그러므로 조직원 공통이익이나 집단적 이익이 있을 때 비로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직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고유한 기능은 각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의 공통이익을 증진하는 데에 있다 조직이나 집단에 석해 있는 사람들이 공통의 이익을 갖는다고 생각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 구성원들은 조직이나 집단의 다른 구성원의 이익과는 별개의 순수히 개인적인 이익을 또한 지니고 있다 가령 노동조합의 모든 구성원에게 더 높은 임금은 공통의 이해이지만 동시에 노동자들은 각각 자신의 개인적인 수입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데 이때 개인적 수입이란 단순히 임금률만이 아니라 노동시간에도 관련되어 있는 것이다,
(2)공공재와 대규모 집단 : 모든 기업은 그 산업부문의 생산물이 더 높은 가격을 받는 것에 공통의 이익을 가지면서도 각각의 기업에 있어서는 더 높은 가격을 얻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다른 기업이 지불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완전 경쟁시장에서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외부의 개입이다.이들 상이한 유형의 조직들 모두가 증진한다고 기대되는 이익은 대부분이 공통의 이익이라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집단행동의 논리
순서






집단행동의논리
Download : 집단행동의 논리.hwp( 81 )
설명
`집단행동의 논리`라는 책의 내용을 단원별로 잘 요약해 놓은 자료(資料)입니다.집단행동의논리 , 집단행동의 논리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다. 공통목적의 달성 또는 공통의 이익의 충족은 그 집단을 위해 공공재 또는 지합체가 제공되어 온 것이다. 예컨대 정부는 때때로 전력과 같은 비집합체를 제공하여 일반 사기업과 같이 시…(省略)
`집단행동의 논리`라는 책의 내용을 단원별로 잘 요약해 놓은 자료입니다. 다수의 개인들이 공통의 또는 집합적인 이익을 지닐 때에는 개별적, 비조직적 행위로는 그 공통의 이익을 전혀 증진시킬 수 없거나 적절히 증진시킬 수가 없을 것이다.
레포트/경영경제
* 제1장 집단 및 조직 theory
집단 및 조직theory 을 자세히 다루어 보면 조직의 목적, 공공재와 대규모 집다, 전통적 집단theory , 소집단, 비수학적 요약, 배타적 집단과 포괄적 집단, 집단의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조직의 목적 : 심리학자인 페스팅거교수가 “집단구성원을 유인하는 것은 단순한 소속감이 아니라 오히려 그 구성원이라는 것에 의해 무언가를 얻는다는데 있다”고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