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08:19
본문
Download :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hwp
②자동갱신협정 및 취지
단체협약의 종료일 이전 일정한 기간 안에 협약당사자의 이의제기가 없는 경우 …(생략(省略))
순서




설명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레포트/법학행정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
Ⅰ.서
Ⅱ. 협약의 종료사유
Ⅲ. 단체협약의 종요와 근로관계 (여후효)
Ⅳ.결
Ⅱ. 협약의 종료사유
단체협약의 종료사유로는 유효기간의 만료, 협약이 취소, 해지, 협약당사자의 변경과 소멸 등이 있다
1. 유효기간의 만료
(1) 의의
단체협약은 2년을 초과하는 유효기간을 정할 수 없으며, 그 유효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나 2년을 초과하는 기간을 정한 경우에도 그 유효기간을 2년으로 된다
(2) 법내연장
유효기간이 종료한 후에도 신단체협약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근로자의 지위가 불안하게 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협약유효기간 만료 후 3월간 종전의 단체협약의 효력이 지속된다
(3) 약정연장
①자동연장협정 및 취지
당사자간에 새로운 단체협약이 체결될 때까지 종전의 단체협약을 존속시킨다고 약정하는 경우 그에 따르되, 해지 할 때에는 해지하고자 하는 날의 6월전까지 해지의사를 상대방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Download :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hwp( 98 )
,법학행정,레포트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단체협약종료후의근로관계 ,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법학행정레포트 ,
단체협약종료후의근로관계
다.
해지규정을 둔 취지는 협약당사자의 일방이 교섭거부·지연으로 다른 당사자가 종전협약에 지나치게 장기간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