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의 모양 해독 전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7 03:24
본문
Download : DNA의 모양 해독 전사.hwp
옆의 그림에는 인산기가 하나밖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원래는 P원소가 인산기로 3개가 이어져 있다 뒤에 나오는 요약적인 그림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이때 주의 깊게 봐야 할 것은 항상 nucleotide는 5`에서3`으로만 붙는다.
마치 구슬을 계속해서 꿰어서 긴 줄을 만드는 과정과 같다.
이때 이 nucleotide를 붙일 수 있는 에너지는 아까 말했듯이 원래 있었던 3개의 인산기중에서 2개가 떨어지면서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해서 옆에 있는 그림처럼 결합이 진행된다된다. 하지만 중합(polymerization) 과정은 DNA, RNA 모두 동일하다.(replication 페이지에 나오는 그림)
여기서 인산기와 3` 탄소와의 연결은 phosphodiester bond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polymerization되어 생기는 물질을 nucleic acid라고 한다. 가끔가다 이 nucleotide가 붙는 과정에서 잘못된 것이 붙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도 그러한 일이 일어난다. 이런 일이 생기면 이렇게 잘못 붙은 nucleotide는 다시 떨어지고 올바른 것이 붙게 되는데, 여기에서 문제가 …(drop)
레포트/자연과학
순서
다.
참고로 nucleic acid에는 DNA(deoxyribonucleic acid)와 RNA(ribonucleic acid)가 있다 DNA에는 2` 탄소에 RNA에 있는 OH기 대신에 H기가 있다 즉 옆의 그림은 RNA이다. 특히 왼쪽에 나와 있는 물질은 RNA이다.
Download : DNA의 모양 해독 전사.hwp( 43 )
,자연과학,레포트
설명
DNA의모양해독전사






DNA의 모양 해독 전사
DNA의모양해독전사 , DNA의 모양 해독 전사자연과학레포트 ,
DNA는 옆의 그림과 같이 당, 염기, 인산기로 이루어진 nucleotide가 여러 개가 일정한 방향으로 붙어서 이루어진다.
생물체가 어떠한 특징을 이룰 때는 다 그 이유가 있다 생명체의 신비라고나 할까? nucleotide가 항상 5`에서 3`으로 붙는 이유는 인산기에 있다
앞에서 서술하였듯이 nucleotide가 붙을 때 인산기 일부가 떨어져 나가면서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되는데 만약 3`에서 5`으로 nucleotide가 붙으면 문제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