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7 19:42
본문
Download : 신석기문화.hwp
횡산장삼랑은 조선의 선사文化(문화)를 객관적으로 파악할려고 하였지만, 결국 가치중립적인 태도로 종국에는 식민통치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겠다.
동삼동에 대한 Sample의 작업은 종래의 토기 편중에서 벗어나 발굴된 유물 전체를 가…(To be continued )
신석기문화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신석기문화.hwp( 22 )
설명






신석기문화에 대한 글입니다. 그는 부산지방 애호가들의 도움을 받아 동삼동 조개더미를 발굴하였는데 이와같이 1930년대의 신석기연구는 애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즉, 歷史(역사) 의식이 매우 치열하지 못했다 할 수 있겠다.
남해안신석기문화-23
3. 1930년대 - 1940년대
이제까지는 주로 관학자 및 이들 주변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에 의해 조사·보고가 이루어졌으나 더 이상 그러한 사람들의 움직임은 없게 되었다.
등전량책은 조선 석기시대 토기의 형태·무늬·바탕 및 분포구역이 특수한 관계에 있음을 알고 이들의 분포구역을 정해서 석기시대 文化(문화)의 전파와 토기무늬와의 관계를 밝혀보려 했지만 각 시대의 토기를 뒤죽박죽 섞어 놓았을뿐만 아니라 식민사관과 결부되어 제국주의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광복 이후의 신석기文化(문화) 연구
1. 1950년대 - 1960년대
광복 이후 남한과 북한의 고고학계는 서로 다른 경향성을 띄고 걸어가게 되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따 북한이 식민사관을 극복하는데 관심을 기울였다면 남한의 고고학은 식민사관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은 나머지 일제시기 관학자들의 관점을 그대로 본따 등전식의 논의를 계속 유지해 나갔다. 그러나, 남해안지방의 신석기유적 발굴은 70년대에 들어와도 많지 않았다. 그는 요새지대라는 이유로 동삼동 유적의 발굴지점을 지도에 싣지 못했는데 동삼동 층위에 대한 현재의 많은 논란도 여기에 연유한다.
2. 1970년대
토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편년이 확립되었다.남해안신석기문화-23 , 신석기문화인문사회레포트 ,
다.
레포트/인문사회
신석기문화에 대한 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루어진 1960년대까지의 남해안지역의 신석기연구는 ‘ 수집’으로 요약할 수 있따 남해도서에 대한 지표조사는 이곳의 유적분포 정도를 알려주는 중요한 집으로서 1970년대에 들어와서 이 지방의 신석기연구가 활성화되는 바탕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