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장 비흥a) 김수영90102-005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06:34
본문
Download : 제36장 비흥a) 김수영90102-005.hwp
정을 일으키는 데서 흥의 수법이 생기고 이치에 부가하는 고로 비의 수법이 생긴다.
살펴보면 흥의 비유방법은 완곡하게 하여 문장을 이루는 것인데 예로든 명칭은 적지만 그 함의는 크다.
%20%EA%B9%80%EC%88%98%EC%98%8190102-005_hwp_01.gif)
%20%EA%B9%80%EC%88%98%EC%98%8190102-005_hwp_02.gif)
%20%EA%B9%80%EC%88%98%EC%98%8190102-005_hwp_03.gif)
Download : 제36장 비흥a) 김수영90102-005.hwp( 77 )
순서
설명
비흥에 대한 내용과 해석입니다.초양왕이 참언을 믿음에 굴원은 충열로 시경에 의지하여 이소를 지었는데 그의 풍자는 비와 흥을 갖추고 있다아한대는 비록 문학이 흥성했지만…(省略)
제36장 비흥a) 김수영90102-005
비흥
비흥에 대한 내용과 해석입니다.대개 시간에 따른 뜻(생각)이 한결같지 않으므로 시인들의 의도에 이 비와 흥 두가지가 있게 된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다.관저편에서 “암,수가 유별하다”는 것은 바로 후비의 덕이요 “시구새는 정결하기가 한결같다”는 것은 바로 부인의 한결같은 뜻이다.비라는 것은 울분을 품고 지적하여 말하는 것이고 흥이라는 것은 완곡한 비유로써 풍자하는 것이다.그러므로 금석을 밝은 덕에 비유하고 규장을 백성의 교화에 비유하며 나나니벌의 이야기로 자식을 깨우치는 것을 끌어내고 매미울음 소리로 부르짖음을 나타내며 빨지않은 옷으로 마음의 근심을 헤아리고 돗자리로 뜻의 견고함을 비유하였다 .이와 같은 것은 형상을 절실히 한 것으로 모두 비의 수법이다.말은 분명하나 뜻은 잘 드러나지 않은 까닭에 주석을 달은 후에야 뜻이 드러나게 된다된다.비흥 , 제36장 비흥a) 김수영90102-005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해석
시경의 내용은 깊고도 넓으니 육의를 포함하고 있다아모공이 모전을 지음에 유독 흥의 체제를 상세히 했으니 아마도 풍은(풍,아,송)교화와 풍자에 통하고,부는 균등하게 하고 비도 그 성격이 밝게들어 나는데 비해 흥은 그 뜻(수법)이 모호하고 애매하기 때문이리라.비는 부가한다는 것이고 흥은 일으킨다는 것이다.
무엇을 비라 하는가.사물을 묘사하여 뜻을 부가하고 과장된 말로 일을 절실히 하는 것이다. “마의는 눈과 같다”나 “쌍두마는 춤추는 것과 같다”와 같은 것은 모두 비의 범주에 들어간다.이치에 부가한다는 것은 동류의 것을 절실히하여 일을 지적(설명(explanation))하는 것이고 정서를 일으킨다는 것은 미묘함에 의지하여 뜻을 기탁하는 것이다. 뜻(의도)은 그 정결함을 취했을뿐 날짐승이라는 사실에 있지 않으며 덕은 그 유별함을 귀하게 여겼으니 저구새(맹금)를 꺼릴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