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kr 논어 > a1633 | 163.kr report

논어 > a1633

본문 바로가기

a1633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논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08:50

본문




Download : 논어(2).hwp




2) 즉, 공자는 ‘덕’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옳다고 보았고, 이러한 생각을 나타내기 위하여 ‘덕치(德治)’의 시초였던 요임금을 마지막 장의 주인공으로 내세웠던 것으로 보인다.1) 그는 더 나아가서 ‘삼황오제(三皇五帝)’시대의 임금인 ‘요(堯)와 순(舜)’을 존경하였다.
논어(2)_hwp_01.gif 논어(2)_hwp_02.gif 논어(2)_hwp_03.gif 논어(2)_hwp_04.gif 논어(2)_hwp_05.gif

Download : 논어(2).hwp( 12 )








논어,기타,레포트
설명

레포트/기타
논어

논어 , 논어기타레포트 , 논어



순서




논어


REPORT
김승민

논어

1. 논어의 구성
『논어』는 전체 20장으로 되어있다 첫 장「학이(學而)」부터 처음 하여 마지막 장은「요왈(堯曰)으로 끝난다.
2. ‘안연(顔淵)’을 칭찬하는 서술
『논어』의 전 편에서 볼 때, 공자는 제자들 가운데 유독 안연을 중하게 여기고 있는 것 같다. 다른 제자들, 자로(子路)나 자공(子貢)의 경우에는 advantage(장점) 도 이야기…(skip)
다. 다른 19개의 장도 이와 똑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맨 마지막을「요왈」이라는 장으로 끝낸 이유는 무엇일까 공자는 고대의 ‘주(周)’를 따르려고 한 인물이다. 예를 들어 제 1장「학이(學而)」의 첫 편을 보면,
‘자왈(子曰),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면 불역열호(不亦說乎)아 유붕자원방래(有朋自遠方來)면 불역락호(不亦樂乎) 아 인불지(人不知)라도 이불온(而不)이면 불역군자호(不亦君子乎)아’
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그런데 여기서 볼 때, 이「학이」장은 위 구절의 밑줄 친 단어 ‘안연’과 상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즉,「학이」장은 바로 ‘학이’라는 단어를 첫 소재로 삼아 이야기를 끌어나가는 형식의 장임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첫 장의 첫 편이 題目의 이름으로부터 처음 하는 데에 기인한다. 왜냐하면 이들 국가와 인물은 공자가 살고 있었던 춘추전국시대의 군주들과는 판이하게 달랐기 때문이다 춘추전국시대의 군주들은 힘으로 자신의 귄위를 세우려는 ‘패도(覇道)정치’를 하려 했던 반면에, 주나라와 요순은 ‘덕(德)’으로써 권위를 세우려는 ‘왕도(王道)정치’를 하였기 때문이다 공자는 매 장에서 힘으로 권위를 세우는 것을 멀리하고, 오직 ‘덕’으로만 권위를 세우고, 백성을 다스릴 것을 역설하였다.
Total 12,573건 1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163.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163.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