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양화사]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01:27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hwp
이를 위해 재귀 의문문이 ‘-가/-나’와 …(省略)
Download :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hwp( 57 )
1. 들어가는 말, 2. 두 가지 유형의 의문문, 3. 존재양화사는 내포된 재귀 의문문이다, 4. 고대 Japan어의 근거 자료, 5. 결 론, , 파일크기 : 119K
다. 이에 반해 일반적 의미의 의문문, 즉 청자 의문문은 wh-의문사가 청자 의문 어미에 의해 결속된 구문임을 논증한다. 필자는 화자가 청자가 아닌 자신으로부터 답을 구하는 특별한 유형의 의문문을 “재귀 의문문”이라 칭하고, 이의 존재를 먼저 논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존재양화사가 간접 의문문일 뿐 아니라, wh-의문사가 재귀 의문 어미에 의해 결속된 재귀 의문문임을 주장한다.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존재양화사,한국어의두가지,의문문,존재양화사,인문사회,레포트






1. 들어가는 말, 2. 두 가지 유형의 의문문, 3. 존재양화사는 내포된 재귀 의문문이다, 4. 고대 일본어의 근거 자료, 5. 결 론, , FileSize : 119K , [존재양화사]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사 인문사회레포트 , 존재양화사 한국어의두가지 의문문 존재양화사
[존재양화사] 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사
순서
1. 들어가는 말
2. 두 가지 유형의 의문문
3. 존재양화사는 내포된 재귀 의문문이다
4. 고대 일본어의 근거 data(자료)
5. 결 론
의문은 문장 유형의 하나로서 통사적 관념인데 비해, 의미의 범주인 질문은 청자로부터 대답을 구하는 property(특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