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대장금`의 언어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16:35
본문
Download :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분석.hwp
이는 어두 평음 ‘ㄱ,ㄷ,ㅂ,ㅅ,ㅈ’이 16세기부터 ‘,,,’으로 표기되면서 경음화 된 시기와 일치하고 있다아
(다) 자음 각자병서 ‘ㄲ,ㄸ,ㅃ,ㅆ,ㅉ’ 등은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한 유성음으로 보인다.
(나) 국어 어두 음소의 경음화 현상이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자음의 합용병서인 어두 자음군어는 본시는 각자 제 음가를 가졌던 것이 어중 모음이 탈락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앞 시대의 음운 의식이 발휘되어 표기의 원칙만을 갖춘 의고적 표기 형태였으나, 16세기에 접어들면서 경음화 되기 처음 하여 17세기말에는 ㅂ계, ㅅ계 모두 경음화로 완성되었다.
(마)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사용되었던 ‘,,ᅙ’ 등은 이후 곧 소멸되었으며, 과 도 16세기를 넘지 못해 점차 소멸되어 이후 차츰 쓰이지 않았다.중세국어강독-1 ,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중세 후기 국어의 특징에 대한 제반 사항들을 먼저 알아보고 시대적 배경이 같은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 分析(분석)에 관련되어 구체적으로 드라마 ‘대장금’의 대본과 배우들의 연기에 있어서 발음상의 문제등을 살펴보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을 요점했습니다. (다만, ㅆ,은 고유어에도 표기된 몇 개의 예가 있다)
(라) 모음에 있어서도 ‘아,,오’대 ‘어,으,우’의 대립을 이루어 모음조화 현상이 뚜렷했으나 17세기에 접어들면서 ·음소가 소실되면서 제 2음절 이하에서 주로 ‘ㅡ’모음으로 변동되어 모음조화 현상이 그 체계의 균형을 잃게 되었다.






순서
Download :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분석.hwp( 95 )
레포트/인문사회
중세국어강독-1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分析(분석)
1. 들어가며
2. 본론
1) 중세 국어의 특징- 후기 중세 국어의 특징을 주로..
2) 맞춤법의 원리
3) 16세기 표기법
4)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2)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 analysis
(1) 음운(말소리)
(2) 어휘면
(3) 문법
3. 맺으며
★나의 소감
1) 중세 국어의 특징- 후기 중세 국어의 특징을 주로..
(1) 음운상의 특징
(가) 자음 체계는 폐쇄음 계열에서 기음화와 후두화를 대립으로 하는 삼지적 상관속을 형성하였으며, 마찰음 계열에서는 후두화의 대립으로 이지적 상관속을 갖는다. 구개음화와 비음화 작용은 15세기말에 드물게 나타나다가 16세기를 지나면서 그 세력이 커졌으며, 두음법칙 현상도 17세기에 나타나기 …(drop)
다.
,인문사회,레포트
중세 후기 국어의 특징에 대한 제반 사항들을 먼저 알아보고 시대적 배경이 같은 드라마 `대장금`의 언어 분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드라마 ‘대장금’의 대본과 배우들의 연기에 있어서 발음상의 문제등을 살펴보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을 정리했습니다. 그러나, 15세기에는 후두긴장의 대립(경음화의 대립)은 거의 없다가 16세기부터 나타나기 처음 하였다.
(바) 종성 표기는 훈민정음 초기에는 주로 8종성으로 쓰였으나 16세기를 넘으면서 어말 내파 작용이 일어나 ㄷ과 ㅅ이 중화되어 7개 종성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