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통합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3:19
본문
Download : 공기업 통합 보고서.hwp
현재 A기관 대비 B기관 보수는 평균(average)적으로 79% 수준이다. 재조정 결과 A기관은 221명 승진, B기관은 49명 강등되었고 A기관의 승진에 따라 실질적으로 임금이 700~900만원 상승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A기관 보수와 B기관 보수의 중간수준에서 일원화하게 되면 A기관의 보수…(drop)
공기업 통합 보고서
순서
설명
공기업,통합,경영경제,레포트
공기업 통합 보고서
공기업 통합 보고서 , 공기업 통합 보고서경영경제레포트 , 공기업 통합
레포트/경영경제
다.
② 보수분야에서도 A기관의 보수체계를 중심으로 B기관의 보수를 조정하였다.
① A기관의 노조가 사측과의 단체교섭권을 확보한 상태여서 B기관의 출신이 직급, 보수, 승진 등 각종 조직운영사항분야에서 A기관 중심으로 임의적으로 조정되었다.
④ 보직분야에서는 보직자 비율을 52:48로 합의하였으나 65:35로 기울어져 A기관 직원이 중요 보직에 분포되어있따
2. 공기업 통합 방법
① 보수격차를 줄이기 위한 예산 확보 measure(방안)
: 구조조정을 통한 단계적 보수격차의 축소 후 보수체계 일원화.
현재 A기관의 중심으로 보수를 조정한 결과 B기관의 보수가 약 3%정도 삭감되는 상황이다. 이는 B기관의 임금을 3% 감축하고 A기관의 임금을 인상시킨 것과 같다.
Download : 공기업 통합 보고서.hwp( 60 )






공기업 통합 보고서
1. 현재 H공기업의 상황
현재 H공기업은 보수, 직급, 승진 거의 모든 분야에서 A기관 중심으로 통합된 상황이며 B기관의 1~2급은 지금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3~6급은 불만이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A기관 대비 B기관 보수는 평균(average)적으로 79% 수준이다.
② 보수분야에서도 A기관의 보수체계를 중심으로 B기관의 보수를 조정하였다. 특히 3급이 75%, 4급이 70%, 5급이 73%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직원이 제일 많이 분포되어있는 B기관의 3~5급(429)명의 반발이 클 것으로 보인다. B기관 4급 20호봉(1,835,000원)=A기관 4급 6호봉(1,781,400원)으로 B기관 직원은 임금이 약 3% 삭감되었다. 특히 3급이 75%, 4급이 70%, 5급이 73%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직원이 제일 많이 분포되어있는 B기관의 3~5급(429)명의 반발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한 B기관 출신의 연공을 2~4년 하향시켰다.
③ 승진, 직급분야에서 A기관은 A기관의 승진연수차이에 따라 B기관 출신 직급 하향 조정을 주장하였고 B기관은 1:1 매칭을 주장하였으나 기획재政府 결정을 무시하고 B기관 출신 164명의 직급을 강등하는 재조정을 강행하였다. B기관 4급 20호봉(1,835,000원)=A기관 4급 6호봉(1,781,400원)으로 B기관 직원은 임금이 약 3% 삭감되었다.
③ 승진, 직급분야에서 A기관은 A기관의 승진연...
공기업 통합 보고서
1. 현재 H공기업의 상황
현재 H공기업은 보수, 직급, 승진 거의 모든 분야에서 A기관 중심으로 통합된 상황이며 B기관의 1~2급은 지금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3~6급은 불만이 클 것으로 보인다.
① A기관의 노조가 사측과의 단체교섭권을 확보한 상태여서 B기관의 출신이 직급, 보수, 승진 등 각종 조직운영사항분야에서 A기관 중심으로 임의적으로 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