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 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23:45
본문
Download : 쇼크 간호.hwp
순서
Download : 쇼크 간호.hwp( 66 )
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쇼크 간호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쇼크(SHOCK)의 대한 전반적인 내용 요약 및 간호사정 및 중재에 상대하여 정리했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 쇼크 간호의약보건레포트 ,





Ⅰ. 定義(정의)
Ⅱ. 분류
1. 저혈량성 쇼크
2. 심인성 쇼크
3. 혈관성 쇼크
Ⅲ. 증상
1. 일반증상
2. 쇼크의 종류별 특징적 증상
Ⅳ. 치료
1. 호흡지지
2. 순환기능지지
3. 체위
4. 체온조절
5. 수액요법
6. 약물치료
7. 신장기능지지
8. 위장흡인
Ⅴ. 간호
1. 사정
2. 간호진단 및 중재
: 불안, 의식상태 change(변화), 발한, 창백, 동공산대, 갈증, 건조한 구강점막, 경정맥의 허탈, 차고 축축한 피부, 빠르고 얕은 호흡, 오심, 장운동 저하, 저혈압(초기혈압상승가능), 맥박압저하, 빠르고 약한 맥박, 표피 말초 정맥 허탈, 청색증, 뇨량감소, 저체온증
2. 쇼크의 종류별 특징적 증상
- 저혈량성 쇼크 : 차고 습하며 축축한 피부, 심한 발한, 청색증, 소변 삼투압과 비중의 증가
- 심인성 쇼크 : 심박출량 저하, 심장박동력 저하
- 아나필락틱 쇼크 : 심한 불안, 어지러움증, 지남력 상실, 의식 상실, 인후부종으로 목쉰 소리, 기침, 호흡곤란, 천명, 가려움증, 눈이나 입술 또는 혀의 부종
- 신경성 쇼크 : 서맥, 저혈압, 건조하고 뻑뻑한 피부
- 패혈성 쇼크 : 따뜻하고 건조하고 충혈된 피부, 후기에는 창백하고 차고 습한 피부 체온 저하, 폐청진시 천명, 졸립고 멍한 의식 상태.
Ⅳ. 치료
1. 호흡지지
1) 산소투여
- 대기압의 2-3배 고압하에서 100%의 산소를 투여하는 방법.
- 適應증 : 공기 색전증, 일산화탄소중독, 골수염, 만성궤양, 괴저
- 단점 : 산소중독증, 중추신경중독증으로 대발작 초래,공기를 내포하는 장기에 압박감 초래.
2) 체외막 산화기
- 중등증의 호흡부전 환자에게 일시적으로 부분적인 점막의 산화를 시도하는 방법
- 適應증 : 익사상태, 폐의 좌상, 폐렴, 지방색전증
2. 순환기능지지
1) 항쇼크바지(Millitary Anti-Shock Trouser: MAST)
- 하지의 정맥귀환을 돕기 위한 것이며, 압력을 계속적으로 하지에 가함.
- 금기증 : 뇌손상, 흉부외상, 임산부, 심인성 쇽, 울혈성 심부전 등
2) 대동맥내 풍선 펌프(IABP)
- 대퇴동맥을 통하여 삽입되며 좌측쇄골하동맥 바로 밑의 하행흉부 대동맥에 위치함.
- 관상동맥에 혈류량을 증가시킴, 대동맥의 혈액량을 저하시키고, 좌심실에서 나오는 혈류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킴. ⇒ 심박출량 증가 ⇒ 심근의 …(省略)
다운받으시는 분에게 유용한 data(자료)가 되길 바랍니다.다운받으시는 분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설명
쇼크(SHOCK)의 대한 전반적인 내용 요약 및 간호사정 및 중재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