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지도그리기-회중학습을위한접근이론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8:35
본문
Download : 기독교교육의지도그리기-회중학습을위한접근이론들.hwp
하지만, 이상하게 이렇게 중요한 교육을 청, 장년이 되면 자율화라는 명분아래 선택하게 내버려 둔다는 것이다. 더욱이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의 때는, 사회로의 첫 발을 딛는 중요한 때이다.
이로 말미암아 궁극적으로 교회가 축복받고,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을 입은 자들이 세상으로 파송된다는 것이다. 저자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사회변혁을 위한 교육, 즉 우리에게 적극적인 사회참여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기독교교육의지도그리기-회중학습을위한접근이론들 독서보고서입니다.





4. 책에 대한 分析 (Analysis) 과 비평 (Evaluation)
기독교교육의지도그리기-회중학습을위한접근이론들 독서보고서입니다. 사회실천의 한 방안(方案)으로 그리스도인들은 이웃들과 장애인들을 위해 교육받고 봉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예수님이 직접 사람과 세상의 관계를 통해 가르치시고 행동하셨던 것처럼 우리가운데도 말씀에 의거한 세상에서의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기독교교육의지도그리기-회중학습을위한접근이론들.hwp( 90 )
다. 우리를 세상의 빛과 소금이라고 말씀하셨지 교회의 빛과 소금이라고는 안하셨기 때문일것이다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지도그리기-회중학습을위한접근이론들
저자는 사회변혁을 위한 교육교회가 사회를 포괄할 수 있어야 하며, 모든 연령대에 맞는 교육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장애인들과 고아를 위한 시설을 갖추고 교육하는 교회는 찾아보기 힘들다.
순서
잭 L 쉐이무어, 기독교교육, 지도그리기, 회중학습
이 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이때에, 기독교교육을 통해 사회를 보는 눈과 신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한데 교육을 받기 보다는 교사로서의 위치에 서는 것이 다반사인 것 같다. 저자가 언급한 해방신학, 여성신학의 맥락은 사회참여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관점을 잘 말해 주는 것 같다. 다시 말해, 교회성도들 가운데 대략 10%정도는 장애인들이 있어야 건강한 교회라고 생각한다.
설명
더불어, 교회교육이 말 그대로 교회 안에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는데, 성경은 분명히 우리를 세상의 빛과 소금이라고 가르치고 있따 교회 안에서의 교육이 형식적이고 습관화되어서 어떤 면에서는 세상에 전혀 적용할 수 없는 상황이 오기도 한다. 그리고 그 교육을 통하여서 성장한 성인들이 건강한 가정과 교회, 사회를 세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어쩌면 교육은 어렸을 때 받는 것이 전부라는 묘한 논리를 만드는 것 같다. 현 우리나라 장애인은 총인구의 약 10%정도라고 한다. 현 기독교교육은 교회학교와 중, 고등부를 중심으로 한 교회교육에 집중되어 있따 물론 어렸을 때부터, 교육을 받고, 균형 잡힌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모든 연령마다 필요한 교육이 있따 처한 상황과 environment(환경) 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사회를 보고, 행동하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말씀에 근거한 적극적인 대응과 그에 따른 행동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