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경어법(높임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7:16
본문
Download : 중세 경어법(높임법).hwp
Reference List
.
중세 경어법(높임법) 연구 리포트입니다.
종 류
1. 경어법
다.
중세 경어법(높임법)
종 류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선행음(어간 끝소리)
Ⅲ. 맺음말
중세 국어에서 겸양법은 주로 선어말어미 ‘-?-,-?-,-?-, -?-, -?-, -?-’등에 의해 두루 실현되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Ⅱ. 본문
2. { ?}의 변동
3. ( 月印釋譜 卷八 92 이하의 이야기)를 통한 {삽}의 용례
Ⅰ. 머리말
순서
용언이 나타내는 동작이 구체적으로 행해질 때의 상황에서 동작의 주체와 주위의 상황과를 대비하여 주체의 동작이 겸손한 것으로 파악되었을 때, 선어말 어미 “-?-”은 사용이된다 이 어미는 어간의 끝소리와 어미의 종류에 따라 여섯 가지 異形態로 실현된다.
2. {삽}의 변동
-2003_01.gif)
-2003_02_.gif)
-2003_03_.gif)
-2003_04_.gif)
-2003_05_.gif)
Ⅰ. 머리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Download : 중세 경어법(높임법).hwp( 62 )
중세 경어법(높임법) 연구 리포트입니다.
“벼슬 노? 臣下ㅣ 님그믈 돕??”(석보상절 9.34) 같은 문장을 보면 객체인 ‘님금’을 높이기 위하여 ‘-?-’이 쓰였다.
여기에서는 겸양법 선어말어미 {?}을 ‘객체 및 대인관계(月印釋譜 卷八 이하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문법, 중세국어, 경어법, 높임법, 통사론
후행음
(모음어미, 매개모음을 취하는 어미)
A+ 받은 reference(자료)입니다. 현대 국어에서는 극히 제한된 몇몇 동사에서만 겸양법이 나타날 뿐이다. A+ 받은 자료입니다. 이러한 겸양법은 현대 국어로 오면서 거의 사라졌다.